러브버그 논란의 시작: 가짜 인터뷰 사진
여름철 불청객으로 떠오른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에 대한 학살을 멈춰달라는 한 동물보호운동가의 인터뷰 사진이 SNS 상에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사진은 인공지능(AI)으로 만든 가짜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가짜 사진의 내용과 확산
사진은 고기영이라는 이름의 동물보호운동가가 ‘러브버그 권리 위원회’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누군가와 인터뷰하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이 운동가는 울부짖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죄 없는 러브버그들이 학살당하고 있다”며 “학살을 멈추고 공존하는 사회가 되었으면…”이라고 말합니다.
반전: 욕설과 조롱 섞인 반응
하지만 다른 사진에서 이 운동가는 자신의 얼굴과 몸에 러브버그가 달라붙자 돌연 “아 XX! 얼굴에 붙었어! XX 꺼져!”라고 욕설을 하며 도망갑니다. 해당 사진들엔 “러브버그 다 데리고 가서 한여름 보내라”, “많이 보호하고 살아라”, “가지가지 한다” , “너희들이나 같이 살아라”, “너희 집으로 데려가라” 등의 조롱성 댓글이 다수 달렸습니다. “이율배반적”이라는 강한 비난도 있었습니다.
AI 생성 이미지의 진실
7일(현지시간) AFP 통신은 ‘팩트체크’ 페이지에 이들 사진을 소개하며 “해충 방제에 반대하는 동물보호 운동가의 실제 뉴스 인터뷰 장면이라는 주장과 함께 SNS에 공유되고 있는 사진은 AI로 생성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AFP통신은 SNS에서 난무하는 가짜뉴스를 검증하는 ‘팩트체크’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AI 이미지의 오류와 식별 방법
AFP는 해당 사진들엔 AI 합성물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오류들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을 자세히 살펴보면 동물보호 운동가의 왼손 손가락이 다섯개 이상입니다. 또한 마이크에도 필요 없는 전선이 붙어 있습니다. 두 사진을 비교해보면 운동가 뒤에 서 있는 사람도 다릅니다. AFP는 “생성적 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지만, 시각적 불일치는 여전히 존재해 이러한 결함을 찾아내는 것이 현재로써는 조작된 이미지를 식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조언했습니다.
러브버그의 특성과 논란의 배경
한편 러브버그는 일본·중국·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관찰되는 부식성 파리류입니다. 독성·공격성이 없고 감염병을 옮기지 않아 법정 해충이 아니며 수분 매개(성충)나 유기물 분해에 기여하는 익충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인체나 농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더라도 대량 발생 시 일상생활에 불편을 유발합니다.
러브버그 방제의 어려움과 환경 단체의 입장
최근 수도권 곳곳에서 러브버그 관련 민원이 잇따르고 있지만, 익충으로 분류돼 적극적인 방역이 어려워 골칫거리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러브버그 성충은 천적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생물학적 방제도 한계가 있어 지자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반면 익충과 해충의 양 측면을 모두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인간이 개입해 개체 수를 줄이며 방제를 해서는 안 된다는 게 환경 단체들의 입장입니다.
핵심 정리: AI 가짜뉴스와 러브버그 논란
AI가 생성한 가짜 인터뷰 사진으로 촉발된 러브버그 관련 논란은, 익충과 해충의 경계, 방제의 어려움, 그리고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합니다. 팩트체크를 통해 가짜뉴스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러브버그 문제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러브버그는 해충인가요?
A.러브버그는 법정 해충은 아니며, 익충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대량 발생 시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Q.러브버그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A.러브버그는 익충으로 분류되어 적극적인 방역이 어렵고, 천적이 없어 생물학적 방제도 한계가 있습니다.
Q.AI 생성 이미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A.AI 생성 이미지는 시각적 불일치와 같은 오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짜 정보를 퍼뜨리는 데 악용될 수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실 vs 방통위원장: '지시' vs '의견', 갈등의 본질과 향후 전망 (0) | 2025.07.09 |
---|---|
윤상현 의원 압수수색, 국민의힘 조경태·김용태 의원, '정치 보복' 주장에 거리두기 (0) | 2025.07.09 |
러브버그와의 불편한 동거, 이제 안녕? 천적 등장에 희망의 빛! (0) | 2025.07.09 |
폭염 속 멈춘 에어컨, 아이들의 건강을 위협하다: 학부모 항의와 학교의 고충 (0) | 2025.07.09 |
삼성전자 실적 반토막, HBM 재고가 발목을 잡다: 위기 속 기회는? (1)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