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산업 부흥의 신호탄: 세액 공제 혜택 확대
미국 내 반도체 생산설비에 대한 세액공제가 기존 25%에서 최대 35%로 상향 조정될 전망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Big, Beautiful Bill(큰 아름다운 법안)’이 상원을 통과하면서, 공이 하원으로 넘어갔습니다. 이번 법안에는 미국 내 반도체 생산설비에 대한 세액공제 상향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TSMC, 인텔, 마이크론… 美 반도체 기업들의 투자 가속화
이번 법안이 최종 통과되면 인텔, 마이크론, TSMC 등 미국 내 제조설비를 확장 중인 반도체 기업들이 가장 큰 수혜를 입게 됩니다. 특히 TSMC는 애리조나에 두 번째와 세 번째 반도체 공장을 건설 중이며, 총 투자 규모는 6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텔 역시 오하이오주에 200억달러를 투입한 대규모 공장 ‘실리콘 하트랜드(Silicon Heartland)’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애리조나와 뉴멕시코 공장 증설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론은 뉴욕주 클레이타운 인근에 최대 1000억달러 규모의 메모리 팹 신설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장기적인 재정적 유인 제공, 기업 투자 견고하게 뒷받침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법안은 단기 보조금이 아닌 ‘장기 세금 감면’으로서 보다 확실한 재무적 유인을 제공함으로써, 기업들의 미국 내 설비 투자를 보다 견고하게 뒷받침하려는 의도입니다.
하원 통과 불투명, 법안 향방은 여전히 미지수
다만, 법안의 향방은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하원 공화당 내부의 분열 조짐 때문입니다. 강경 보수파 의원들은 상원안을 “무기력하다(dud)“고 비판하며, 자체 수정안을 제출한 상태입니다. 민주당은 반대표를 행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공화당 내 단 4표만 이탈해도 법안은 무산됩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세액 공제 혜택 기대
만약 35% 세액공제가 확정된다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설비투자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삼성은 텍사스 테일러시에 170억달러를 들여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으며, 최근에는 2공장 증설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역시 미국 내 후공정 시설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미국 중심 반도체 공급망 재편, 장기 전략 수정 요구
하지만,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은 한국 기업들에게 중장기 전략 수정도 요구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미국 정부의 직접 보조금보다 세금 인센티브가 강조되는 트럼프식 산업정책은, 삼성이나 하이닉스처럼 현지 공장을 보유한 기업에는 유리할 수 있지만, 국내 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에게는 압박이 될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美 세액 공제 확대, 한국 반도체 기업에 미치는 영향
미국이 반도체 세액 공제를 최대 35%로 상향하며, TSMC, 인텔 등 현지 투자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전망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역시 혜택을 기대할 수 있지만,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은 장기적인 전략 수정 필요성을 제기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세액 공제 상향이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A.미국 내 반도체 기업들의 투자를 촉진하고, 공급망을 강화하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TSMC, 인텔, 마이크론 등 대규모 투자를 계획 중인 기업들에게는 획기적인 기회가 될 것입니다.
Q.한국 기업,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미치는 영향은?
A.미국 내 공장을 보유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세액 공제 혜택을 통해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은 장기적인 전략 수정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Q.법안 통과 가능성은?
A.하원 공화당 내 분열 조짐으로 인해 법안 통과 여부는 불투명합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법안 처리를 강력히 촉구하고 있지만, 하원 의장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대통령, 부동산 규제 '맛보기' 발언: 압도적인 수요 억제책, 그리고 지방 균형 발전의 중요성 (0) | 2025.07.03 |
---|---|
특검 수사,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 정조준… 삼부토건 압수수색 (2) | 2025.07.03 |
아침 과일 주스, 술만큼 위험하다? 내과 교수가 경고하는 건강한 아침 식단 (2) | 2025.07.03 |
40년 주담대, 아직 기회가 있다? 은행들의 '막바지 영끌' 영업, 득과 실은? (1) | 2025.07.03 |
라면 가격 급등 현실? 1년 9개월 만에 최고치, 소비자 부담 가중 (1)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