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에너지 시대의 가능성을 열다
인공지능(AI) 산업 발전과 같은 미래를 향한 변화 속에서, ‘원전을 새로 짓지 않아도 미래 전력 공급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의 잠재력에 주목해야 합니다. 태양광 전문가인 한치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긍정적인 답변을 제시하며, 국내 재생에너지의 잠재력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신규 원전 건설 없이도 충분히 미래 전력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는 단순한 희망이 아닌, 현실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 결과입니다.
600TWh, 대한민국 재생에너지의 거대한 잠재력
국내에서 현실적으로 확보 가능한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의 시장 잠재량은 약 600테라와트시(TWh, 연간)에 달합니다. 이는 2038년 예상 전력 수요량 735TWh의 상당 부분을 감당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한 연구원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 수요 대응전략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며, 신규 원전 건설 없이 기존 원전을 잘 활용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했습니다. 시장 잠재량은 지형, 기술적 제약뿐 아니라 정부 지원책과 규제 등 경제성까지 반영한 가장 보수적인 미래 발전량 예측 방법으로 평가됩니다.
태양광과 풍력, 미래 에너지의 두 기둥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시장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태양광 잠재량은 495TWh, 육상과 해상을 합친 풍력 발전의 잠재량은 171TWh입니다. 이를 합한 재생에너지 총 시장 잠재량은 666TWh로 2038년 예상 전력 소비량 735TWh의 약 90%에 달합니다. 이러한 수치는 태양광과 풍력 발전을 통해 신규 원전 건설 없이도 충분한 전력 조달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특히, 지난해 기준 원전 발전량이 189TWh, 액화천연가스 발전량이 167TWh임을 고려할 때, 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을 잘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탈원전, 현실이 될 수 있을까?
한 연구원은 현재 가동 중인 원전과 재생에너지 발전량 140TWh를 달성해 ‘무탄소 발전 비중’이 53%가 되면, 석탄발전소를 폐쇄해도 추가 원전 건설 없이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탈원전을 넘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독일의 사례는 이러한 전환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입니다.
독일의 사례, 재생에너지 전환의 가능성을 열다
기후연구단체인 독일 아고라 에네르기벤데의 염광희 선임연구원은 독일의 사례를 통해 한국도 재생에너지 전환이 가능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독일은 재생에너지 투자를 본격화한 지 20여 년 만에 전체 전력량 중 절반 이상을 태양광과 풍력으로 충당하며 재생에너지 선진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독일은 지난 2023년 총 36개 원전 전부를 폐쇄하며 탈원전을 달성한 국가이기도 합니다. 염 연구원은 재생에너지 확대가 탄소 감축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에너지 전환, 정치적 결단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정치적 결단’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에너지전환포럼 공동대표)는 재생에너지 전력 설비를 확대하고 석탄발전소를 줄여나가는 과정이 한국형 에너지 전환의 핵심 과제라고 말합니다. 그는 재생에너지는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의지의 문제인 만큼 정책 일관성과 제도 투명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환경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신규 원전 건설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에너지의 미래, 재생에너지로 열어갈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의 잠재력은 매우 큽니다. 600TWh에 달하는 잠재량은 신규 원전 건설 없이도 미래 전력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을 중심으로 한 재생에너지 확대는 탈원전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독일의 사례는 이를 뒷받침하며, 정치적 결단과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대한민국도 에너지 전환의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재생에너지의 잠재량은 어떻게 평가되었나요?
A.재생에너지의 시장 잠재량은 지형, 기술적 제약뿐 아니라 정부 지원책과 규제 등 경제성까지 반영한 가장 보수적인 미래 발전량 예측 방법을 통해 평가되었습니다.
Q.독일의 재생에너지 전환 사례는 무엇을 시사하나요?
A.독일의 사례는 재생에너지 투자를 통해 탈원전을 달성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탄소 감축, 일자리 창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Q.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A.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정치적 결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정책 일관성과 제도 투명성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웨이 도서관, 한국을 비추는 거울: K-테크, 생존을 위한 처방 (3) | 2025.08.04 |
---|---|
소비쿠폰 효과, 매출 57% 급증! 당신의 지갑을 열 업종은? (3) | 2025.08.04 |
무안 '1시간 142.1mm' 폭우, 기록적인 강수량과 향후 전망 (2) | 2025.08.04 |
북한 원산, 러시아 관광객에게 특별한 경험 선사: 텅 빈 해변과 최고의 서비스 (2) | 2025.08.04 |
75억 '몸짱 약사'의 선택, 삼성동 아이파크삼성…전현무도 반한 그곳은? (3) | 202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