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부러움 산 펄어비스, 적자 현실화
높은 연봉과 파격적인 복지로 업계의 부러움을 한 몸에 샀던 게임 개발사 펄어비스가 충격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주주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2분기에만 100억원 이상의 손실을 기록했으며, 연간 적자 또한 불가피해 보입니다. '검은사막'으로 유명세를 떨치며 승승장구하던 펄어비스의 예상치 못한 부진에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주가 폭락과 주주들의 분노
펄어비스의 적자 소식은 주가 폭락으로 이어졌습니다. 13일, 펄어비스의 주가는 24% 넘게 폭락하며 주주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주었습니다. 이에 주주들은 '주주를 기만하는 코스닥 경영진에 엄벌을 촉구한다'는 국민 청원을 올리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펄어비스의 위기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업계 최고 수준의 파격적인 복지
펄어비스는 업계 최고 수준의 연봉과 복지 혜택으로 유명합니다. 2023년 기준 펄어비스 전체 임직원의 평균 연봉은 약 1억 1,100만원에 달하며, 특히 20대 평균 연봉이 6,177만원, 30대 평균 연봉은 1억 381만원에 달합니다. 주거비 지원, 대출 이자 지원, 가사 도우미 지원, 난임 시술비 지원, 부모 요양비 지원, 반려동물 보험 등 타 기업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파격적인 복지 혜택을 제공해왔습니다.
가족 친화적인 복지 혜택
펄어비스는 임직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 복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미혼 임직원에게는 가사 도우미 청소 서비스를 월 1회 제공하고, 난임 부부에게는 시술 비용을 횟수 제한 없이 지원합니다. 또한, 부양 가족이 있는 임직원에게는 부모 요양비를 지원하고, 반려동물 보험까지 제공하며, 임직원들이 일과 가정의 균형을 이루도록 돕고 있습니다.
악화된 실적, 붉은사막 출시 연기
이처럼 파격적인 복지 혜택에도 불구하고, 펄어비스는 실적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796억원, 영업손실은 118억원, 당기순손실은 22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더욱이, 회심작 '붉은사막'의 출시가 연기되면서, 연내 흑자 전환의 희망마저 희미해졌습니다. 출시 일정 번복은 이번이 세 번째로, 펄어비스의 미래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펄어비스의 미래는?
펄어비스는 '검은사막' 이후 새로운 흥행작을 내놓지 못하며 적자 늪에 빠졌습니다. 허진영 대표는 '붉은사막' 출시 연기에 대해 사과했지만, 주주들의 실망감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펄어비스가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을지, 게임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핵심만 콕!
고액 연봉과 파격 복지로 주목받던 펄어비스가 적자 늪에 빠지면서 주가 폭락과 주주들의 반발을 샀습니다. '붉은사막' 출시 연기까지 겹치면서 펄어비스의 앞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펄어비스의 적자 원인은 무엇인가요?
A.주력 게임 부재, 신작 출시 지연, 마케팅 비용 증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Q.펄어비스의 주가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A.향후 실적 개선 여부와 신작 출시 성공 여부에 따라 주가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Q.펄어비스는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요?
A.신작 게임의 성공적인 출시, 비용 절감 노력, 주주와의 소통 강화 등이 필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여정, 확성기 철거 의향 '없음' 선언…한반도 긴장 고조,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1) | 2025.08.14 |
---|---|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열흘 연휴' 꿈은 이루어질까? 찬반 논란과 숨겨진 이야기 (6) | 2025.08.14 |
홈플러스, 15개 점포 폐점 결정… 위기의 홈플러스, 미래는? (2) | 2025.08.14 |
기흥저수지 방류, 오산천 수위 상승에 대한 긴급 정보: 안전을 위한 대비는? (2) | 2025.08.13 |
4,400억 원대 유사수신 사건, 아도인터내셔널 계열사 대표 항소심 감형… 피해자 합의가 결정적 요인 (2) | 202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