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캄보디아 탈출, 기적 뒤 숨겨진 악몽: 부패한 경찰과 끝나지 않는 공포

by 냉장고13 2025. 10. 13.
반응형

캄보디아, 탈출은 시작일 뿐?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감금 피해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극적으로 탈출에 성공한 피해자들에게 진정한 고통은 탈출 이후에 시작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탈출 후에도 현지 경찰에게 돈을 지불해야 풀려날 수 있었던 안타까운 현실이 드러났습니다. 이 글은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납치, 감금 사건의 실태를 파헤치고, 피해자들이 겪는 고통과 그 이면에 숨겨진 어두운 그림자를 조명합니다. 피해자들의 절박한 외침과 함께 캄보디아 내 만연한 부패와 무력한 현실을 고발합니다.

 

 

 

 

필사의 탈출, 그러나 끝나지 않은 악몽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한 게시글은 캄보디아에서 감금되었던 동생의 탈출기를 생생하게 담고 있습니다. 20대 초반의 피해자는 불법적인 일과는 무관했지만, 감금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했습니다. 담을 넘다 허리를 다쳐 디스크까지 얻었을 정도로 격렬한 탈출 끝에 겨우 자유를 얻었지만, 그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또 다른 시련이었습니다.

 

 

 

 

부패한 경찰, 돈으로 풀려나는 현실

피해자는 탈출 후 캄보디아 경찰을 찾아 도움을 요청했지만, 제대로 된 치료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현지 경찰은 피해자의 안전과 보호보다는 금전적인 이득에 더 관심을 보이는 듯했습니다심지어 빨리 풀려나기 위해 거액의 돈을 지불해야만 했습니다. 대사관이나 영사관의 도움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피해자 가족들은 현지 목사를 통해 경찰에 돈을 전달하고 겨우 석방시킬 수 있었습니다. 캄보디아 경찰 일부가 납치 조직과 결탁하여 피해자를 다시 넘길 수 있다는 소문은 피해자들에게 극심한 불안감을 안겨주었습니다.

 

 

 

 

납치 조직의 덫, 끝나지 않는 위험

피해자를 감금했던 조직원들은 보석금을 내고 먼저 풀려났고, 피해자들은 서류 한 장 없이 풀려나겠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다행히 피해자들은 수상함을 느껴 이를 거부했지만, 당시 상황을 떠올리면 아찔함을 금할 수 없습니다. 캄보디아 내에서는 한국인을 노린 취업 사기, 납치, 감금, 고문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그 심각성은 날이 갈수록 더해지고 있습니다.

 

 

 

 

증가하는 피해, 무력한 현실

외교부에 따르면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 신고 건수는 2021년 4건에서 2023년 17건으로 증가했고, 올해 8월까지 330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캄보디아 박람회를 다녀오겠다며 출국한 20대 한국인 대학생이 고문 끝에 사망하는 사건, 수도 프놈펜 한복판에서 50대 한국인 남성이 납치되어 고문당하는 사건 등 끔찍한 범죄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습니다. 피해자들은 고수익 해외 취업 광고에 속아 캄보디아로 갔다가 끔찍한 범죄의 희생양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은 캄보디아 내 부패한 경찰, 납치 조직의 만연, 그리고 무력한 외교적 지원 등 복합적인 문제들이 얽혀 만들어낸 비극입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를 통해 세상을 바꾸려 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한 대우, 사건 사고와 미담 등 모든 이야기를 알려주세요. 캄보디아에서 벌어지는 끔찍한 사건들을 통해, 우리는 우리 사회의 어두운 면을 마주하고, 피해자들의 고통에 공감하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아야 합니다. 이 비극적인 현실을 잊지 않고,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캄보디아 납치 감금 사건, 탈출 후에도 끝나지 않는 고통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 감금 사건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극적으로 탈출에 성공한 피해자들은 부패한 경찰, 납치 조직의 위협 속에서 또 다른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증가하는 피해 건수와 무력한 현실 속에서,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해결 노력을 멈추지 않아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캄보디아 경찰은 왜 피해자를 돕지 않나요?

A.현지 경찰의 부패와 납치 조직과의 결탁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피해자 보호보다는 금전적 이득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자들은 오히려 경찰에게 돈을 지불해야 풀려나는 상황입니다.

 

Q.피해자들이 캄보디아로 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A.대부분 고수익 해외 취업 광고에 속아 캄보디아로 갔다가 납치, 감금, 고문 등의 범죄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Q.한국 정부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나요?

A.외교부는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 사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피해자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지 경찰의 부패, 납치 조직의 활동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