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안세영, 덴마크 오픈 결승 진출! 야마구치에 짜릿한 역전승, 8관왕 향해 질주

by 냉장고13 2025. 10. 19.
반응형

안세영, 덴마크 오픈 준결승에서 야마구치 제압

배드민턴 여자 단식 세계랭킹 1위 안세영은 덴마크 오덴세에서 열린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월드투어 슈퍼 750 덴마크오픈 준결승에서 일본의 야마구치 아카네(3위)를 게임스코어 2-1로 제압했다. 야마구치는 지난 8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5 세계선수권대회(개인전)에서 정상에 오른 '월드 챔피언'이다.

 

 

 

 

20일 만의 설욕, 야마구치에 짜릿한 역전승

안세영은 지난달 20일 중국 오픈 4강에서 게임스코어 2-0으로 이겼으나 8일 뒤인 9월28일 홈 코트에서 열린 코리아 오픈 결승에선 0-2로 패했다. 안세영이 이번 경기에서 20일 만에 다시 설욕했다.

 

 

 

 

경기 내용 분석: 역전 드라마의 주역

안세영의 이날 승리는 전날 일본 '영건' 야마자키 도모카(10위)에 역전승을 거둘 때와 비슷했다. 상대의 적극적인 공격에 1게임을 내준 안세영은 전열을 정비한 뒤 자신의 강점인 수비와 체력, 랠리 등에서 점수를 따내고 역전 드라마를 펼쳤다.

 

 

 

 

경기 흐름: 1, 2, 3게임의 반전

시작은 불안했다. 안세영은 1게임 초반부터 4점을 연속으로 내주며 끌려갔고, 끝내 격차를 좁히지 못한 채 첫 게임을 5점 차로 졌다. 2게임은 달랐다. 4-4 동점 뒤 연속 득점으로 앞서 나가면서 야마구치의 추격을 불허했다. 상대의 공세를 단 10점으로 틀어막으면서 게임스코어 1-1을 만들고 마지막 게임을 기약했다. 3게임은 일방적이었다.

 

 

 

 

야마구치와의 역대 전적 및 결승 상대

안세영은 이날 승리로 야마구치와의 역대 전적에서 15승15패 균형을 맞췄다안세영의 결승 상대는 세계랭킹 2위인 왕즈이(중국)이다. 왕즈이는 같은 날 3위인 대표팀 동료 한웨와 붙어 게임스코어 2-1(24-26 21-5 21-10)으로 이겼다.

 

 

 

 

압도적인 상대 전적, 8관왕을 향한 기대

상대 전적만 놓고 보면 안세영의 승리가 예상된다. 둘은 국제대회에서 총 17번 붙었는데 안세영이 13승4패로 압도적 우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혼합단체 세계선수권인 '수디르만'에서의 2-0 승리를 포함해 안세영이 5전 전승을 찍고 있다.

 

 

 

 

안세영, 일본 선수 3명 연달아 격파

안세영은 이번 대회 16강, 8강, 4강에서 연달아 일본 선수들을 만나 모두 이겼다. 하지만 이번 덴마크 오픈 여자단식에선 안세영이 한 수 위의 기량을 앞세워 16강에서 니다이라 나쓰키(28위), 야마자키, 야마구치를 연달아 따돌렸다.

 

 

 

 

올해 7번 우승, 파리 올림픽 금메달을 향해

안세영은 올해 국제대회에서도 11개 대회에 출전, 무려 7개의 우승 트로피를 거머쥐면서 파리 올림픽 금메달 상승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말레이시아 오픈, 전영 오픈, 인도네시아 오픈(이상 슈퍼 1000), 인도 오픈, 일본 오픈, 중국 마스터스(이상 슈퍼 750), 오를레앙 마스터스(슈퍼 300) 등에서 우승을 휩쓸었다.

 

 

 

 

안세영, 덴마크 오픈 결승 진출! 8관왕을 향한 질주

안세영 선수가 덴마크 오픈 준결승에서 야마구치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습니다. 20일 만의 설욕과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며, 올해 8번째 우승을 향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압도적인 상대 전적과 뛰어난 기량으로 8관왕을 넘어 파리 올림픽 금메달까지 노리는 안세영 선수의 활약을 기대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안세영 선수의 다음 상대는 누구인가요?

A.안세영 선수의 결승 상대는 세계 랭킹 2위인 왕즈이 선수입니다.

 

Q.안세영 선수가 야마구치 선수에게 승리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안세영 선수는 수비, 체력, 랠리 등 자신의 강점을 잘 활용하여 야마구치 선수에게 역전승을 거두었습니다.

 

Q.안세영 선수의 올해 성적은 어떤가요?

A.안세영 선수는 올해 11개 대회에 출전하여 7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