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물가, 왜 이렇게 올랐을까?
올해 소비자들은 대형마트와 시장에 붙은 가격표를 보고 선뜻 이 품목들을 장바구니에 담지 못했다. 최근에는 고등어와 오징어 등 수산물 가격도 폭등해 고민은 더욱 커지고 있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왜 이렇게 올랐을까? 한국은행은 보고서를 통해 '집중호우'와 '폭염'이 물가를 끌어올리고 성장을 제약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폭염과 폭우, 물가 상승의 주범
한은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월 집중호우와 폭염의 영향으로 3분기 소비자물가상승률이 0.3%포인트 추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간 상승률은 0.1%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추정됐다. 농수축산물 가격이 뛴 것이 직접적인 영향을 줬다.
농수축산물 가격 상승의 구체적인 원인
농산물의 경우 지난 7월 폭우로 전남과 경남 지역의 수박, 멜론, 엽채류 피해가 컸다. 이에 따라 수박 값이 크게 올랐다. 축산물은 주로 닭과 오리 등 가금류 피해가 컸다. 산란계 사육면적 규제가 강화된 것도 계란 값 상승에 영향을 줬다. 수산물은 해수면 온도가 10년 새 최고 수준까지 오르면서 가격이 크게 뛰었다.
외식 물가에도 파급되는 영향
농수축산물 가격은 시차를 두고 외식물가에도 파급이 된다. 한은은 농수축산물 가격이 10% 오르면 3분기 후 외식가격이 0.9% 오른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이같은 기후변화에 따른 물가 영향이 올해만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기후변화, 2020년대 들어 더욱 심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집중호우와 폭염 빈도는 2020년대 들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시간당 30mm 이상의 강수량을 의미하는 집중호우는 2020년대 평균 49일 발생했다. 2000년대 39일 대비 23.9% 증가했다. 시간당 50mm 이상의 격렬한 비가 전체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일 최고기온 33℃ 이상을 기록한 폭염일수는 2020년대 평균 67일로 2000년대 46일 대비 44.9% 늘었다.
건설업과 서비스업에도 미치는 영향
집중호우와 폭염은 성장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한은이 집중호우와 폭염의 영향을 산업별로 살펴본 결과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비가 오면 공사가 중단되고, 더울 때는 전면 중단은 아니더라도 작업 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농림어업은 집중호우 발생일수가 10일 증가할 때 연간 성장률이 2.8%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농경지 침수 등 직접 피해가 발생해서다. 폭염 역시 양식어류 폐사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대면서비스 역시 악영향을 받았다. 비가오거나 더우면 소비자들이 외출을 꺼리기 때문이다.
성장률 감소, 장기적인 하방 압력
한은은 이런 분석을 토대로 성장률 영향을 추정한 결과 집중호우·폭염이 집중되는 3분기 성장률이 2020년대 들어 2010년대 대비 약 0.1%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으로 따지면 0.04%포인트 성장률을 끌어내린 셈이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극단적 기상현상은 인명·재산 손실, 생산시설 피해, 생산성 저하 등을 통해 잠재성장률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결론: 기후변화, 경제에 드리운 그림자
극심해지는 기후변화는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을 넘어, 건설업, 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제 성장률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체계적인 정책 대응과 함께, 기후변화 대응 투자를 위한 균형 있는 정책 조합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폭염과 폭우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폭염과 폭우는 농작물과 가축 피해를 유발하여 농축산물 가격을 상승시키고, 이는 외식 물가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건설 및 서비스업 생산성을 저하시켜 경제 성장률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Q.기후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은 무엇인가요?
A.극단적인 기상 현상은 잠재 성장률을 저하시키는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인명 및 재산 손실, 생산 시설 피해, 생산성 저하 등을 통해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요?
A.체계적이고 선제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며, 기후 변화 대응 투자를 위한 균형 있는 정책 조합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학자 총재, '청탁 지시' 부인에도… 혐의를 뒷받침하는 진술들, 진실은? (1) | 2025.08.31 |
---|---|
슈카, '990원 소금빵' 열풍! 빵플레이션 저격? 자영업자 '비상식적' 반발, 득과 실은? (3) | 2025.08.31 |
80mm 강타! 요란한 비, 늦더위 기승…9월 날씨 전망 및 SEO 전략 (3) | 2025.08.31 |
MZ세대, 편의점 건기식에 꽂히다: 다이소 대신 CU? 5000원의 건강 투자 (2) | 2025.08.31 |
S&P500 퇴출 종목, 숨겨진 보석을 찾다: 주가 반등의 기회? (1) | 2025.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