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카카오톡 개편, '불편함' 호소하는 사용자들... 주가 하락까지 이어지나

by 냉장고13 2025. 9. 28.
반응형

카카오톡, 15년 만의 대규모 개편

카카오톡이 출시 15년 만에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습니다. 이번 개편은 숏폼 기능 추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탑재 등을 포함하여, 단순 메신저를 넘어 ‘슈퍼 앱’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개편의 핵심: 친구 탭의 변화

가장 큰 불만을 사고 있는 부분은 ‘피드형’으로 변경된 친구 탭입니다. 기존의 전화번호부식 친구 목록 대신, 친구들이 올린 사진, 동영상 등 콘텐츠를 모아 보여주는 피드 형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는 인스타그램과 유사한 방식이지만, 사용자들은 이 변화에 대해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불만, 그 이유는?

사용자들은 가까운 친구들의 소식보다 광고와 불필요한 정보가 더 많이 노출된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또한, 기존 친구 목록에 접근하기 위해 추가적인 클릭이 필요해진 점도 불편함을 더하고 있습니다. 익숙함에서 오는 불편함은 사용자들의 이탈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탈출구 찾기: 앱 업데이트 우회와 메신저 이동

불만을 가진 사용자들은 앱 업데이트를 우회하거나, 라인, 텔레그램과 같은 다른 메신저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앱 업데이트를 피하는 방법이 공유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카카오톡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입니다.

 

 

 

 

넘쳐나는 불만 속, 카카오톡의 현실

하지만, 카카오톡은 여전히 ‘국민 메신저’로서 일상생활과 업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대체할 만한 서비스를 찾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감수하며 카카오톡을 계속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카카오의 입장과 앞으로의 과제

카카오 측은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경청하고 기능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일시적으로 부정적이더라도 궁극적으로는 특히 대화 측면에서 자유로움을 드리고 싶다. 피드백을 받아가면서 좋은 모습으로 진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가 하락, 위기감 고조

대규모 개편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이어지면서 카카오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가는 5만원대로 내려앉았으며, 이는 카카오가 직면한 위기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사용자들의 불만이 장기화될 경우, 기업 가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개편, 득보다 실이 많았나?

이번 카카오톡 개편은 사용자들의 불편함과 주가 하락이라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카카오는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개선을 통해 이러한 부정적인 여론을 잠재워야 할 것입니다. 슈퍼 앱으로의 도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이 필수적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카카오톡 개편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A.숏폼 기능 추가, AI 챗GPT 탑재, 친구 탭의 피드형 변경 등이 있습니다.

 

Q.사용자들이 가장 불편해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A.친구 탭의 피드 형식 변경으로 인해, 불필요한 정보 노출이 증가하고, 정작 친구 목록 접근성은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Q.카카오 측의 대응은 무엇인가요?

A.사용자 피드백을 수렴하여 기능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대화 측면에서 자유로움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