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희망퇴직으로 실적 '휘청'…5억 위로금과 자녀 학자금 지원, 그리고 미래는?
LG유플러스, 희망퇴직 단행과 실적 타격
LG유플러스가 약 3년 만에 전격적인 희망퇴직을 단행하면서 3분기 실적에 적지 않은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 희망퇴직 시행으로 발생한 일회성 인건비는 약 15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3분기 영업이익 급감, 시장 예상치 밑돌아
IBK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LG유플러스의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4.8% 줄어든 1358억 원에 머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컨센서스)인 2172억 원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파격적인 조건의 희망퇴직, 그 배경은?
LG유플러스는 만 50세 이상, 근속 10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희망퇴직에서 최대 4억~5억 원대의 위로금과 자녀 학자금 지원 등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한 바 있다.
장기적인 수익성 개선 기대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희망퇴직에 따른 연간 인건비 절감 규모가 500억~6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단기 실적에는 부담이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LG그룹 내 인력 구조조정 확산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역시 고연차 사무직을 대상으로 한 인력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16일 사무직 대상 희망퇴직 신청을 공지하고, 오는 20일부터 접수를 시작할 예정이다.
과거 사례와 시사점
과거 유사한 방식의 인력 조정을 단행했던 KT는 지난해 4분기 4400명의 희망퇴직 시행으로 1조 원의 인건비를 반영하며 6551억 원의 대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희망퇴직, 단기적 손실과 장기적 기회
LG유플러스의 희망퇴직은 단기적으로 실적에 부담을 주지만, 장기적인 수익성 개선의 기회를 제공한다. LG그룹 내 다른 기업들의 구조조정과 함께, 고령화 시대의 인력 관리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자주 묻는 질문
Q.LG유플러스의 희망퇴직은 왜 진행되었나요?
A.50대 이상, 근속 10년 이상 직원의 인력 구조조정을 통해, 고령화에 따른 인력 적체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인 수익성 개선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
Q.희망퇴직의 조건은 무엇이었나요?
A.최대 4억~5억 원대의 위로금과 자녀 학자금 지원 등 파격적인 조건이 제시되었습니다.
Q.희망퇴직이 LG유플러스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단기적으로는 3분기 실적에 타격을 주지만, 장기적으로는 인건비 절감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