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9억 5천 송도 아파트, 절반 토막? 수도권 부동산 시장 '급랭' 원인 분석

티포인트 2025. 7. 24. 09:12
반응형

수도권 아파트 거래 절벽: 3분의 1 토막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방안'(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했습니다. 23일 한국경제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이달 1~22일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6757건으로 전달 같은 기간(2만1672건)보다 68.8%나 줄었습니다. 이는 대출 규제로 인한 매수 심리 위축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서울(-78.2%), 경기(-64.9%), 인천(-57.6%) 등 수도권 전반에서 거래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정부의 후속 대책 발표 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시장 관망세가 짙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대출 규제의 직격탄: 집값 하락과 '마피' 속출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인해 수도권 외곽 지역의 집값 하락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미분양이 쌓인 평택, 안성, 이천 등 경기 외곽 지역은 물론, 부천, 안산, 파주, 고양, 의정부, 양주 등에서도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입주(준공 예정) 단지를 중심으로 1억원 이상의 '마피'(마이너스 프리미엄)가 붙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출 규제로 매수 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공급 과잉과 금리 인상 부담까지 겹쳐 나타난 결과로 풀이됩니다. 시장에서는 지방과 더불어 수도권 외곽의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송도, 9억 5천만원에서 7억대로… 하락세 현실화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아파트 가격 하락도 심상치 않습니다한때 9억 5천만원까지 치솟았던 '럭스오션SK뷰' 전용 84㎡의 호가가 7억원대 중후반으로 하락했습니다. 송도 입주 물량 증가와 GTX-B 노선 착공 지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이처럼,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가격 하락이 나타나면서, 부동산 시장의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획일적인 규제보다는 선별적인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며, 시장 상황에 맞는 유연한 대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거래 절벽의 심화: 매수자 실종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매수세가 실종되면서 거래 절벽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양주시 옥정동의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대출 규제의 반사이익을 전혀 기대할 수 없다”며 “대출받아 집 사는 건 똑같은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까지 더해져 매수자가 사라졌다”고 토로했습니다. 이는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가 실수요자들의 주택 구매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서울 강남 집값을 잡기 위한 규제가 수도권 외곽 지역의 시장 기능 마비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규제 vs. 시장: 엇갈리는 시선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정부의 규제 정책에 대해 엇갈린 시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그동안 전례에서 보듯 특정 지역만 콕 집는 핀포인트 규제를 하면 해당 지역의 집값이 나중에 폭등할 잠재력을 더해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아파트와 비아파트를 구분하는 등 선별적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시장 상황에 맞는 탄력적인 정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규제 일변도의 정책보다는 시장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실수요자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정책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마이너스 프리미엄(마피) 속출

최근 준공(입주 예정) 단지에서는 ‘마피’(마이너스 프리미엄)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입주한 인천 연수구 송도동 ‘럭스오션SK뷰’(1114가구)는 청약 당시 일부 주택형은 경쟁률이 100 대 1을 넘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최근 송도 입주 물량 증가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노선 착공 지연 등으로 집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9억5000만원까지 치솟았던 이 단지 전용 84㎡(분양가 8억7900만원)는 7억원대 중후반에 매물이 나와 있습니다.

 

 

 

 

수도권 부동산 시장 급랭, 그 원인과 전망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습니다. 거래량 급감, 집값 하락, '마피' 속출 등 심각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획일적인 규제보다는 시장 상황에 맞는 선별적인 정책을 주문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향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이 왜 이렇게 급감했나요?

A.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 특히 '가계대출 관리 방안' 시행으로 인해 매수 심리가 위축되었기 때문입니다.

 

Q.마이너스 프리미엄(마피)은 무엇인가요?

A.아파트 분양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물이 나오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손해를 보고 집을 팔아야 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Q.앞으로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까요?

A.전문가들은 정부의 추가 대책 발표 전까지 시장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며,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