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추석, '71만원' 지출 예상에 한숨… 알뜰하고 행복한 명절 보내는 법
2025년 추석, 지갑은 열고 마음은 닫는 현실?
다가오는 추석, 마음은 풍족하지만 지갑 사정은 넉넉지 않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의 조사에 따르면, 2025년 추석 전체 지출 예산이 평균 71만2300원으로 예상되어, 작년 추석 5일 연휴 때의 56만3500원보다 14만8800원(26.4%)이나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지출 증가는 단순히 연휴 기간의 확대 때문만은 아닙니다. 물가 상승과 부모님께 드리는 효도 비용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지출, 어디에 쓰일까?
세부 예산 구성을 살펴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부모님 용돈과 선물비로 전체 예산의 54.2%인 38만6100원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차례상 비용(29만4600원), 친지·조카 용돈(27만400원)도 만만치 않은 부담으로 다가오며, 내식 비용(24만7200원)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특히 응답자의 62.4%가 작년 대비 예산을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으며, 8.2%는 두 배 이상 지출할 예정이라고 밝혀, 체감되는 명절 비용 부담이 상당함을 알 수 있습니다.
변화하는 명절 풍경: 휴식과 여행을 선택하다
명절 문화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추석 연휴 활용 계획으로 집에서 가족과 휴식을 취하려는 응답이 46.8%로 가장 많았으며, 전통적인 귀성은 36.4%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국내여행 계획(23.2%)이 해외여행(5.7%)보다 4배나 높아, 경제성을 고려한 선택이 두드러졌습니다. 또한, 응답자의 24%는 연차를 활용해 8일 이상의 초장기 연휴를 계획하고 있으며, 충분한 휴식(49.6%), 국내여행(32.5%), 가족과의 시간(29.6%)을 연장 사유로 꼽았습니다.
차례상, 간소화 바람에도 부담은 여전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다 보니, 차례상 문화에도 변화가 감지됩니다. 전통 방식을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13.3%에 그쳤으며, 간소화(40.2%), 안 함(23.5%), 가족 식사 대체(22.7%) 등 86.4%가 변화를 시도하겠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간소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차례상 예산은 29만4600원 수준을 유지하여, 실질적인 비용 절감 효과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간소화 이유로는 가사 부담(44.5%), 경제적 부담(39.3%), 시간적 부담(36.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명절 물가, 과일이 가장 부담스러워
추석 음식 품목별 부담도에서는 과일이 3.94점(5점 만점)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축산물(3.64점), 수산물(3.55점)도 높은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 과일은 수입산 구매 고려 비율이 13.3%에 그쳐 “비싸도 국산”이라는 인식이 강했습니다. 반면 축산물은 22.5%가 수입산 구매를 고려한다고 답해,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명절 물가 상승에 대한 소비자들의 고충을 보여주는 단면입니다.
세대별 체감하는 경제적 부담의 차이
전체 응답자의 86.0%가 긴 연휴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습니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40대의 부담감이 71.1%로 가장 높았고, 20대는 38.6%로 가장 낮았습니다. 이는 경제활동의 주력층인 40대가 명절 비용에 대한 부담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20대는 아직 경제적 기반이 덜 다져진 시기이거나, 명절에 대한 기대감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알뜰하고 행복한 추석을 위한 제언
이번 조사 결과는 명절 문화가 개인화, 다양화되는 가운데, 가족 관계 유지를 위한 비용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추석을 앞두고 물가 안정 캠페인과 성수품 원산지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현명한 소비를 통해 알뜰하게 명절을 준비하고, 가족과의 소중한 시간을 통해 마음까지 풍족해지는 행복한 추석을 맞이하시길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올해 추석 지출, 왜 이렇게 늘어났나요?
A.물가 상승과 부모님 용돈 등 효도 비용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작년에 비해 연휴 기간이 길어진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Q.차례상은 꼭 해야 할까요?
A.필수는 아닙니다. 간소화하거나, 가족 식사로 대체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명절 문화를 즐길 수 있습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명절 비용, 어떻게 절약할 수 있을까요?
A.합리적인 소비 계획을 세우고, 가격 비교를 통해 알뜰하게 장을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족들과 함께 예산에 맞는 명절 계획을 세우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