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폭염 속 '월 325시간' 노동… 영동대로 건설 현장, 1980년대 돌아간 듯

냉장고13 2025. 10. 20. 18:22
반응형

지옥 같은 현실: 영동대로 건설 현장의 그림자

서울시가 발주한 영동대로 건설 현장의 일부 노동자들이 한여름에 월 300시간 이상 장시간 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리한 공사 일정을 맞추기 위해 산업 안전은 뒷전으로 밀려났고, 노동자들은 극심한 노동에 시달려야 했다. 이는 1980년대의 열악한 노동 환경을 연상케 하며, 사회적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숨 막히는 노동 시간: 30시간 연속 근무의 공포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4공구 건설현장의 한 형틀목수팀은 7월 평균 25일, 하루 13시간, 월 325시간을 일했다이는 일반적인 건설 현장 노동 시간보다 125시간이나 더 많은 수치다한 건설 노동자는 7월 한 달 동안 384시간을 일하기도 했으며, 심지어 30시간 연속 근무를 한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살인적인 노동 시간은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공포의 포괄임금제: 노동 착취의 또 다른 수단

적정 임금과 주휴 수당 미지급 문제도 드러났다서울시는 표준 근로 계약서를 작성하고 주휴 수당과 적정 임금을 보장해야 하지만, 실제 계약서에는 건설업 적정 임금보다 낮은 금액이 기재되었다. 계약서는 임금 산정에 모든 수당이 포함된 포괄 근로 계약서 형태로 작성되었고, 주휴 수당이나 연차 수당은 명시되지 않았다. 이는 노동 착취를 위한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산재 사고의 늪: 안전 불감증이 낳은 비극

무리한 공사 일정은 산재 위험성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했다올해 영동대로 지하화 공사 현장에선 총 12건의 재해가 발생했으며, 2022년부터 2025년 9월까지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 발주한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산재는 170건에 달한다이 중 사망 사고도 7건이나 포함되어, 안전 불감증에 대한 심각성을 드러냈다.

 

 

 

 

서울시의 무책임한 관리 감독: '빛 좋은 개살구' 정책

서울시는 적정 임금 지급, 표준 근로 계약서 의무화 등 좋은 정책을 내놓았지만, 관리·감독 부재로 인해 그 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고 있다. 윤종오 의원은 서울시가 발주 건설 현장의 실태를 전수 조사하고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의 무책임한 태도는 노동자들의 고통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미래를 위한 약속: 근로 시간 준수와 안전한 현장 조성

서울시 관계자는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 시간 미준수에 대해 시공사에 시정 요구를 하고, 전 현장에 대한 근로 실태 점검 관리를 통해 주 52시간이 준수되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보여주기식 행정이 아닌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더욱 강력한 관리 감독과 노사 간의 소통이 필요하다.

 

 

 

 

핵심만 콕!

영동대로 건설 현장의 장시간 노동, 임금 체불, 산재 사고, 부실한 관리 감독 등 총체적인 문제점을 지적하며, 서울시의 책임 있는 자세와 실질적인 개선 노력을 촉구한다.

 

 

 

 

궁금증 해결!

Q.영동대로 건설 현장에서 왜 이렇게 장시간 노동이 이루어졌나요?

A.무리한 공사 일정과 최소 비용으로 일정을 맞추려는 시공사의 요구가 맞물려 노동자들의 고강도 업무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Q.포괄임금제는 무엇이며, 왜 문제인가요?

A.포괄임금제는 임금 산정에 모든 수당을 포함하여 지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제대로 된 수당 지급 없이 장시간 노동을 강요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Q.서울시는 이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밝혔나요?

A.서울시는 근로기준법 위반에 대해 시정 요구를 하고, 주 52시간 준수를 위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