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장관, '北 체제 존중' 외치다: 이재명 정부 통일 정책의 새로운 방향
1991년 '남북 기본합의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통일 정책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이재명 정부의 통일 정책이 1991년 '남북 기본합의서'에 기반해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합의서는 북한의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북한의 붕괴나 흡수 통일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과거 보수 정부였던 노태우 정부가 북한과 체결한 합의를 계승하는 것으로, 새로운 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북한 체제 존중과 내정 불간섭, 평화 체제 구축 의지
정 장관은 남북기본합의서 제1~6조를 언급하며, 새 정부는 북한 내정에 간섭하지 않고 비방과 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평화 체제를 향한 꿈을 포기하지 않고 전진하며 무력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평화로운 공존을 추구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김여정의 비판에도 굴하지 않는 평화 정착 노력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이재명 정부의 긴장 완화 조치를 '기만극'이라고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정 장관은 남북 평화 정착을 위한 정상화 조치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는 북한의 부정적인 반응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대화와 협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겠다는 굳건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끊임없는 평화에 대한 열망: '묵묵히 흐르는 해류'
정 장관은 '광복 80주년 기념 남북의 평화와 화합을 위한 기원 법회'에서 김남중 통일부 차관이 대독한 축사를 통해 '잠깐의 풍랑은 묵묵히 흐르는 해류를 이길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요동하는 국제 정세나 남북 간의 긴장도 이 땅의 진정한 화합과 평화를 향한 올곧은 열망을 꺾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평화를 향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남북 주민의 만남과 소통의 중요성
정 장관은 한반도의 평화는 남북 주민들이 다시 만나는 것으로부터 새롭게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민간 부문이 대화하고 작은 일부터 소통하는 것이 신뢰를 회복하고 화해와 협력의 길로 나아가는 첫 번째 과제라고 역설했다. 이는 정부 주도의 정책뿐만 아니라, 민간 교류를 통해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평화를 구축하려는 노력을 강조하는 것이다.
핵심만 짚어보는 이재명 정부의 통일 정책
이재명 정부는 1991년 남북 기본합의서 정신을 계승하여 북한 체제를 존중하고 흡수 통일을 추구하지 않으며, 평화적 공존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을 천명했다. 김여정의 비판에도 굴하지 않고, 민간 교류를 활성화하여 남북 관계 개선에 힘쓸 것을 다짐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은 기존 정책과 무엇이 다른가요?
A.1991년 남북 기본합의서에 기반하여 북한 체제를 존중하고 흡수 통일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이는 과거 정부의 정책 기조를 잇는 동시에, 평화적 공존을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Q.북한의 반응은 어떤가요?
A.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이재명 정부의 긴장 완화 조치를 비판했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이에 굴하지 않고, 지속적인 대화와 교류를 통해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Q.민간 교류가 왜 중요한가요?
A.민간 부문의 대화와 소통은 신뢰를 회복하고 화해와 협력의 길을 여는 첫걸음입니다. 정부 주도의 정책뿐만 아니라, 민간 교류를 통해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평화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