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소비쿠폰, 2030은 '먹는 데', 4060은 '생활에' 썼다? 세대별 소비 성향 분석

티포인트 2025. 8. 10. 08:20
반응형

소비쿠폰, 세대별 사용 패턴의 차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패턴이 세대에 따라 뚜렷하게 달라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0~60대는 외식과 생필품 구매에 균형 있게 쿠폰을 활용했다. 20·30대는 외식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쿠폰 신청 및 사용 현황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는 최근 전국 만 20~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에 대한 국민 체감 조사’를 실시했다.

 

 

 

 

소비쿠폰, 96% 이상 신청

10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6.4%가 소비쿠폰을 신청했다. 이 가운데 81.1%는 실제로 쿠폰을 사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이 사용된 업종은 '외식'

가장 많은 쿠폰이 사용된 업종은 식당·카페 등 외식 분야(66.7%)였다. 이어 △마트·전통시장에서의 생필품 구매(61.9%) △미용·의료(32.3%) △문화·여가(7.8%) △교육비(7.6%) 순으로 조사됐다(복수응답 기준).

 

 

 

 

세대별 소비 패턴의 차이

20·30대는 외식 관련 지출 비중이 가장 높았다40~60대는 외식과 생필품 구매에 고르게 쿠폰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보다 균형 잡힌 소비 성향을 보였다.

 

 

 

 

소비쿠폰 사용 후 소비 변화

소비쿠폰 사용 후 소비 변화에 대한 질문에는 ‘소비가 늘었다’는 응답이 43.3%로 가장 많았다. ‘비슷하다’는 응답은 51.9%, ‘줄었다’는 응답은 4.8%에 그쳤다.

 

 

 

 

결론: 소비쿠폰, 세대별 소비 가치관을 반영하다

이번 조사를 통해 소비쿠폰이 세대별 소비 가치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2030세대는 외식에, 4060세대는 생필품 구매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소비쿠폰 정책의 효과적인 설계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소비쿠폰은 어떻게 지급되었나요?

A.쿠폰 지급 방식으로는 ‘신용·체크카드 연동형’이 전체의 80.0%로 가장 많았습니다.

 

Q.소비쿠폰 사용으로 소비가 얼마나 증가했나요?

A.응답자의 43%가 소비가 증가했다고 답했습니다.

 

Q.전문가들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어떻게 평가했나요?

A.전문가들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세대별 소비 가치관이 뚜렷하게 반영된 결과”라고 평가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