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애 의원, 추석 떡값 425만원 받으며 느낀 '무거운 마음'과 기부 결심
추석, 국회의원 떡값 425만원 지급… 김미애 의원, 불편한 심경 토로
올해 추석을 앞두고 국회의원들에게 명절 휴가비로 424만7940원이 지급된 가운데,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휴가비를 전액 기부할 것을 밝혔습니다. 국회에 따르면, 국회의원들은 설날과 추석, 두 차례에 걸쳐 약 425만원의 명절 휴가비를 받습니다. 김미애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떡값 수령에 대한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습니다.
김미애 의원, '마음이 무겁고 송구하다'…기부 결정 배경
김미애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 제 통장에 어김없이 명절 휴가비 424만 7940원이 찍혔다'며 '마음이 무겁고, 송구할 따름'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녀는 지난해에도 명절 떡값에 대한 불편한 심정을 공유했으며, 많은 이들이 공감했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국회의원으로서 세비로 주머니를 채우는 것에 대한 불편함 때문에, 세비의 일부를 기부하며 나눔을 실천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예산 심사 과정에서의 '빚 폭탄' 문제 지적
김 의원은 예산, 추경, 법안 심사 과정에서 '국민의 혈세'를 외치면서도, 미래 세대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현실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습니다. 그녀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절망을 넘어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고 표현하며, 정치의 본질은 책임과 염치라고 강조했습니다.
나눔의 정치 실천: 김미애 의원의 약속
김미애 의원은 내 주머니 채우기를 줄이고, 고통받는 이웃과 함께 나누는 모습이 많아질 때, 국회와 대한민국 정치가 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녀는 이번 명절 휴가비 역시 어려운 이웃들과 함께 나누겠다고 약속하며, 자신의 삶에는 지장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추석에도 동일한 금액을 기부한 바 있습니다.
국회의원 명절 휴가비, '월 봉급액의 60%' 규정 적용
국회의원들의 명절 휴가비는 일반 공무원 수당 규정과 동일하게, 월 봉급액의 60%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올해 국회의원 연봉은 약 1억 5700만원이며, 명절 휴가비는 지난 10년간 약 10% 상승했습니다.
정치 개혁을 향한 김미애 의원의 메시지
김미애 의원은 정치 개혁을 위해 '내 주머니 채우기를 줄이고, 고통받는 이웃과 함께 나누는 모습'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그녀의 기부 결정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국민과 함께하는 정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됩니다.
핵심 요약: 김미애 의원의 떡값 기부와 정치 개혁의 메시지
김미애 의원은 추석 명절 휴가비 425만원을 기부하며, 떡값 수령에 대한 불편한 심경과 정치 개혁에 대한 소신을 밝혔습니다. 빚 폭탄 문제 지적과 나눔의 정치를 강조하며, 국회의원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김미애 의원은 왜 떡값을 기부하기로 결정했나요?
A.김미애 의원은 국회의원으로서 세비로 주머니를 채우는 것에 대한 불편함, 그리고 예산 심사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나눔을 실천하고 정치 개혁에 기여하고자 떡값 기부를 결정했습니다.
Q.국회의원 명절 휴가비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A.국회의원들의 명절 휴가비는 월 봉급액의 60%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일반 공무원 수당 규정과 동일합니다.
Q.김미애 의원은 지난해에도 떡값을 기부했나요?
A.네, 김미애 의원은 지난해 추석에도 명절 휴가비를 기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