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시스템 마비, 709개로 늘어난 장애 시스템, 복구는 어디까지 왔을까?
혼란의 시작: 화재로 인한 시스템 장애 확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인해 가동이 중단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의 장애 규모가 당초 알려진 647개에서 709개로 늘어났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국정자원 통합운영관리시스템(엔탑스) 복구를 통해 전체 시스템 목록을 재확인했고, 그 결과 장애 시스템 수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이는 시스템 관리 데이터 복구 및 확인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중대본은 이에 대한 혼선을 국민께 사과했습니다. 시스템 등급별로 살펴보면, 1등급 40개, 2등급 68개, 3등급 261개, 4등급 340개로 분류되었습니다. 정부는 업무 영향도, 사용자 수, 파급도 등을 고려하여 시스템의 등급을 매깁니다.
복구 현황: 핵심 시스템 정상화와 향후 전망
9일 낮 12시 기준, 총 193개의 시스템이 복구되었으며, 특히 1등급 핵심 시스템 40개 중 25개가 정상화되었습니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브리핑을 통해 현재 복구 상황을 설명하며, 앞으로 더욱 정밀한 복구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15일 이후부터는 복구 시스템의 수가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는 이달 말까지 도입 예정이었던 서버, 네트워크 등 신규 장비 198식의 도입이 연휴 기간에 앞당겨 완료되었기 때문입니다.
시스템 목록 증가의 배경: 세분화와 통합
대전 센터 내 시스템 목록 수가 늘어난 데에는 우체국금융, 공직자통합메일과 같이 기능별로 세분화된 시스템들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온나라문서 시스템처럼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던 목록이 정부업무관리시스템으로 통합되면서 전체 시스템 목록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목록 변화는 정확한 현황 파악을 어렵게 만들었지만, 중대본은 정확한 현황 관리를 통해 앞으로 더욱 정밀한 복구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복구 과정의 노력: 전산실 및 장비 복구
중대본은 화재와 분진 피해를 입은 전산실과 장비 복구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연휴 기간 동안 8전산실의 내부 분진 제거 작업을 완료했으며, 전기선로 복구 작업을 마무리하는 대로 시스템 복구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5층 전산실의 시스템은 소관 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대구센터로 이전하거나 대전센터 내 다른 전산실로 이전하여 복구하는 방안을 결정했습니다. 이는 대전센터에서 신속하게 장비를 수급하여 복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기술적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심리적 지원과 인력 지원
중대본은 시스템 장애 복구 업무 중 안타깝게 유명을 달리한 행정안전부 직원에 대한 애도를 표하며, 심리적 지원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전문 심리상담사를 정부세종청사 13층과 국정자원 대전센터 의무실에 상주시켜 심리 상담을 지원하고 있으며, 복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중대본 운영과 행정 업무 부담을 줄이고, 업무 과중 부서에 대한 인력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핵심 요약: 시스템 장애, 복구, 그리고 노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시스템 장애가 확대되었지만, 중대본의 신속한 대응과 복구 노력으로 핵심 시스템의 정상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시스템 목록 재확인 과정에서 혼선이 있었지만, 정확한 현황 파악을 통해 더욱 정밀한 복구가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전산실 및 장비 복구와 함께 심리적 지원, 인력 지원 등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장애 시스템 수가 왜 늘어났나요?
A.국정자원 통합운영관리시스템(엔탑스) 복구를 통해 전체 시스템 목록을 재확인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의 세분화 및 통합으로 인해 장애 시스템 수가 증가했습니다.
Q.현재 복구 상황은 어떤가요?
A.9일 낮 12시 기준 193개 시스템이 복구되었으며, 1등급 핵심 시스템 40개 중 25개가 정상화되었습니다.
Q.향후 복구 계획은 무엇인가요?
A.15일 이후부터는 복구되는 시스템의 수가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5층 전산실 시스템은 대구센터 또는 대전센터 내 다른 전산실로 이전하여 복구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