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개 사육농장 70% 폐업: 개식용 종식의 빛과 그림자, 그리고 우리가 할 일

티포인트 2025. 8. 14. 15:21
반응형

개식용 종식법 시행 1년, 농장의 변화

지난해 8월 ‘개식용종식법’ 시행 이후, 대한민국 개 사육 농장의 풍경이 급변하고 있습니다전체 1537호의 개 사육농장 중 약 70%에 해당하는 1072호가 폐업을 결정했습니다이는 개식용 종식을 향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업계의 변화, 그리고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맞물린 결과입니다. 특히, 2027년까지 개고기 섭취를 금지하겠다는 목표 아래, 정부는 개 사육농장, 도축장, 음식점의 폐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습니다.

 

 

 

 

폐업 지원 정책과 농장의 선택

정부는 개 사육농장의 신속한 폐업을 지원하기 위해, 폐업 구간에 따라 차등적인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1구간 폐업 시 개 한 마리당 60만 원, 2구간 52만 5천 원, 3구간 45만 원 등, 빠른 폐업을 선택할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은 농장주들이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개식용 종식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는 인식이 확산됐고 조기 폐업 유도를 위한 정책 효과와 함께 계절 수요가 맞물려 나타난 결과”라고 말했습니다.

 

 

 

 

폐업 농장의 식용견, 새로운 삶을 찾아서

폐업 신고 농장의 식용견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새로운 삶을 찾아가고 있습니다업계는 그간의 관행에서 벗어나, 2027년 2월까지 국내외 입양, 반려견 및 경비견으로의 분양, 소유권 포기 후 지자체 이관 등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하며 자율적으로 폐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개식용 종식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동물들의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려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줍니다.

 

 

 

 

개식용 종식, 긍정적인 전망과 과제

농식품부는 올해까지 전체 농장의 75% 이상이 폐업할 것으로 전망하며, 개식용 종식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동시에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습니다. 동물의 복지, 농장주들의 생계 문제, 그리고 사회적 합의 등, 개식용 종식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많습니다.

 

 

 

 

우리 모두의 역할: 입양과 분양 참여

농식품부 박정훈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개식용 업계의 적극적인 협조와 국민들의 관심에 힘입어 당초 예상보다 폐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정부는 종식 상황을 잘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그는 또한 “동물보호단체뿐 아니라 동물을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께서도 입양이나 분양 등에 적극 동참해 주시길 당부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우리 모두의 관심과 참여가, 개식용 종식을 더욱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핵심만 콕!

개식용 종식법 시행 1년 만에 개 사육농장의 70%가 폐업했습니다. 정부는 폐업 지원 정책을 통해 농장주들의 전환을 돕고 있으며, 식용견들의 새로운 삶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습니다. 개식용 종식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 모두의 관심과 참여가 이 과정의 성공을 좌우할 것입니다.

 

 

 

 

궁금해하실 만한 점들

Q.폐업 농장의 개들은 어떻게 될까요?

A.대부분의 개들은 국내외 입양, 반려견 및 경비견 분양, 지자체 이관 등을 통해 새로운 삶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받고 있습니다.

 

Q.정부의 폐업 지원금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A.폐업 구간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빠른 시일 내에 폐업할수록 더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Q.개식용 종식이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A.동물 복지 향상, 사회적 인식 변화, 관련 산업의 재편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